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다차원척도법
- TextGame
- 네이버
- 실기
- 네이버부스트캠프
- 인터페이스
- ADsP
- 수정의 연속
- 수출프로세스
- JVM
- 영업프로세스
- 일정한값
- 부채이
- 당기손이익
- System.Out.print
- 참조형변수
- 문자숫자
- Columnstore Index
- SQL
- java
- 부스트캠프
- STRING_SPLIT
- 시계열분석
- callbakURL
- 데이터레이크
- 기본형변수
- 가상화환경
- 정보처리기사
- 남궁성 자바
- reverseAPI
- Today
- Total
목록JAVA (12)
Daily_

오늘은 제네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네릭이란 객체를 생성시에 데이터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타입을 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에 타입을 명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LinkedList, LinkedList, HashMap 등이 있습니다. 먼저 제네릭의 장점 2가지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컴파일 과정에서 강한 타입체크를 통해 오류 제거 가능 2. 타입변환 제거 가능 제네릭의 장점에 대해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점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기 전에 제네릭의 관례적 명칭을 간략히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관례적 명칭으로 항상 아래의 표처럼 제네릭 명칭을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타입 설명 Type Element Key Value Number..

상속과 인터페이스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과 인터페이스는 비슷해 보이지만 명확히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상속과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면 상속은 '기능의 확장', 인터페이스는 '기능의 중간다리 역할'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상속 - extends 상속이란 부모클래스의 기능을 자식클래스에서 물려받아 부모의 기능을 자식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것을 말합니다. 다중상속은 불가능합니다. 상속을 사용하는 이유는 만약 부모클래스에서 만든 기능을 자식클래스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고자 할때 동일한 코드를 부모, 자식 클래스에 중복되도록 작성하는 것이 아닌 부모클래스의 기능을 자식클래스에서 물려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

JAVA 언어에서는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여 변수나 메소드의 접근 범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접근제어자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은닉함으로써 캡슐화(보안)를 구체화 할 수 있습니다. Modifier 동일 클래스 동일 패키지 자식 클래스 전체 public 접근 가능 접근 가능 접근 가능 접근 가능 protected 접근 가능 접근 가능 접근 가능 접근 불가능 default 접근 가능 접근 가능 접근 불가능 접근 불가능 private 접근 가능 접근 불가능 접근 불가능 접근 불가능 접근제어자의 종류는 4가지로 아래과 같습니다. 1. private 2. default 3. protected 4. public private < default < protected < public 순서대로 더 많은 접근을 허용합니..

백준 알고리즘 문제 중 '1620.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문제를 풀이하던 중 입력된 값이 문자 또는 숫자로 입력되었습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입력받은 값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판단이 필요하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JAVA에서 '입력받은 값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AVA 에서 입력값의 문자 또는 숫자 여부를 판별하는 5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Apach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정규식 사용 2. Character 클래스의 isDigit() 메서드 사용 3. Double 클래스의 parseDouble() 메서드 사용 4. JAVA 8 이상에서 Character 클래스의 isDigit() 메서드 사용 위의 4가지 방법에 대..

JAVA의 메모리 구조 JAVA의 메모리는 OS 가 아닌 JVM이 관리합니다. JAVA 언어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들은 JVM이 관리하며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을 Runtime data area라고 합니다. Runtime data area 공간의 영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AVA의 메모리는 Method area, Heap area, Stack area, PC register, Native method stack 5공간으로 구분되어 저장됩니다. 각각의 메모리 공간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ethod Area 필드 정보(클래스 멤버 변수의 이름, 데이터 타입, 접근제어자 등), 메소드 정보(메소드의 이름, 리턴 타입, 파라미터, 접근제어자 등), Type 정보(Inter..

자바란? - 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을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입니다. - 자바 프로그램은 JVM(Java Virtual Machine)을 통해 각각의 운영체제에 맞게 번역이 되어 '플랫폼 독립적' 입니다. - 클래스를 이용하는 '객체지향언어' 입니다. **JVM : 실 운영체제를 대신해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가상의 운영체제 역할을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한 이유는? - 컴퓨터는 텍스트, 숫자, 이모티콘 등을 이해할 수 없고 이진수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와 컴퓨터(운영체제)가 소통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였고 그 언어를 우리는 '프로그래밍 언어' 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러를 통해 컴..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는 각각 어떤것이고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추상클래스 (~이다, extends) 추상클래스란 추상메서드를 생성하여 상속을 통해서 자식 클래스에서 완성하도록 유도하는 클래스입니다. 미완성 설계도라고도 불리며 단일 상속만 가능합니다. 추상클래스의 경우 조상클래스와 동일한 기능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며, 상속을 통해 기능을 이용하고 상속을 통해 확장시켜 나갑니다. public abstract class 추상클래스(){ } 인터페이스 (~ 할수있는, implement, …able) 인터페이스는 추상클래스와 다르게 다중상속이 가능합니다. 추상클래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A,B의 클래스가 서로다른 C,D의 클래스를 상속받지만 X라는 공통 기능이 필요할 경우 사용할..
JAVA 의 기초적인 개념 공부를 하기위해서 가장 습득되고 빠른 이해는 직접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TextGame을 만들어 보면서 개념공부를 같이 병행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TextGame을 구상하며 작성한 내용을 적어보려고 해요. 게임의 주제는 '요리 타이쿤' 같은 느낌으로 잡았어요. 나사장 이라는 사람이 가게를 창업하고 그 가게에서 손님을 위한 음식을 만들어가는 게임입니다! 아래는 간략히 적어본 가상 게임도(?)예요! 추가적으로 어떤 클랙스가 필요하고 각 클래스에는 어떤 변수, 메소드가 필요할지 적어보았어요! 추후 수정될 가능성이 아주 많은 기록들이랍니다. ---------------------------- --- 가상 게임 텍스트 실행문 --- -------------..
JAVA에서 static이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그리고 JAVA를 사용할때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static은 매우 중요하니 꼭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을것 같아요! 1. Static이란 무슨의미일까요? - 이론적으로 static이란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것을 의미해요. 하지만 이런 이런적으로 말하는 말은 이해가 바로 되지 않아요ㅠㅜㅠ 쉽게 풀어서 얘기해면 클래스를 이용해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해당 클래스의 변수를 static으로 사용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것을 말해요. 또 static을 이용해서 변수를 선언하면 그 변수는 프로그램 내에서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어서 한 곳에서 변경될 경우 다른 객체에서 사용할 때에도 변경이 되요. 2. Static..

YouTube 7 - 20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기본형변수와 참조형변수가 존재함 기본형 - 8개 boolean / char / byte, short, int, long / float, double 실제 값을 저장 논리형 - true,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으며, 조선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됨 문자형 -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문자 저장은 char, 여러개의 문자 저장은 string 정수형 -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int, long이 사용됨, byte는 이진 데이터를 이루는데 사용됨 실수형 - 실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됨 *참고 : 1bit = 2진수 1자리, 1byte = 8bit =2진수8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