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상화환경
- 다차원척도법
- Columnstore Index
- 문자숫자
- 수출프로세스
- 수정의 연속
- callbakURL
- 네이버부스트캠프
- 실기
- reverseAPI
- SQL
- java
- 당기손이익
- 시계열분석
- JVM
- 정보처리기사
- 기본형변수
- STRING_SPLIT
- 부스트캠프
- 영업프로세스
- 일정한값
- 부채이
- 인터페이스
- 남궁성 자바
- 네이버
- System.Out.print
- 참조형변수
- 데이터레이크
- ADsP
- TextGame
- Today
- Total
목록SQL (4)
Daily_

RANK() 동일한 등수는 같은 순위를 주고 같은 순위가 반복된 뒤의 등수에는 반복된 수만큼 뒤의 순위를 주는 함수입니다. 예를들어, 1, 2, 2, 4, 4, 4, 7 ... 과 같은 형태의 순위를 반환합니다. 사용법은 RANK() OVER( ... ) 형태입니다. Employee 테이블에서 salary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할때, 순위 또한 salary 내림차순으로 주는 쿼리문입니다. SELECT EmpID, EmpName, Salary, RANK() OVER(ORDER BY Salary DESC) AS [Rnk] FROM Employee ORDER BY Salary DESC EmpID EmpName Salary Rnk 1 S0004 김삼순 7000 1 2 S0009 최사모 5800 2 3 S0010 정..

Index란? 인덱스는 테이블의 특정 열을 정렬하여 저장하는 것입니다. 정렬된 데이터의 값을 활용하여 SELECT시 더 빠른 검색이 가능합니다. 하나의 테이블에는 최대 250개의 인덱스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때 Clustered Index는 최대 1개만 가능합니다. 다른 종류의 인덱스들이 249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인덱스 설정 시 메모리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성능의 저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INDEX인 Clustered Index, Nonclustered Inde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활용되는 Columnstore Inde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덱스 선택의 유의사항 1. 인덱스를 생성 / 수정하지 않는다. => 인덱스..

옵티마이저란? 옵티마이저는 SQL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최적의 처리경로를 생성해주는 DBMS 내부의 핵심 엔진입니다. 사용자가 SQL로 쿼리를 구성하여 결과를 요청하면 옵티마이저가 최적화된 실행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옵티마이저에게 최적화된 처리경로는 실제 업무에서는 최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옵티마이저에게 최적이 아니어도 꼭 붙여야 하는 조건이 생긴다면 해당 조건을 붙인 쿼리문을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옵티마이저의 종류 규칙 기반 옵티마이저(Rule-Based Optimizer, RBO) 미리 정해놓은 규칙에 따라 액세스 경로를 평가하고 실행계획을 세웁니다. 이때 규칙의 우선순위대로 규칙을 점검합니다. 예전에는 문법을 검사해주는 툴이 존재하지 않아 RBO를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요즘에는 다양한..

DisksPD란 Microsoft Technet에서 제공하는 Windows OS 전용 I/O Workload 툴을 말합니다. DisksPD를 이용해 Disk IOPS를 측정합니다. SQL의 성능을 빠르게 해 주기 위해서는 I/O의 속도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히 INSERT문을 사용할 때 I/O의 속도가 느리다면 SQL의 결과가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I/O의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SSD를 사용한다면 대부분의 I/O 속도는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I/O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지만 자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디스크의 성능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한번 실행 시 최대 2~3회 실행을 추천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b : I/O 크기 c : d..